스토리텔링은 인류 경험의 초석입니다. 인류는 역사적으로 구전 역사부터 출판 도서, 영화 및 만화책에 이르기까지 스토리를 전달하기 위해 새로운 매체를 개발해 왔습니다. 하지만 이미지와 글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통해서도 스토리를 전달할 수 있을까요?
이 백서에서는 인류 역사에서 스토리텔링의 진화에 대해 살펴보고 숫자로 강력한 스토리를 전달하는 데 현대의 데이터 시각화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스토리가 인간의 인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 데이터 스토리를 사용하여 의사 결정권자와 소통할 수 있는 방법, 자신의 데이터 스토리를 사용하여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해서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지금 백서 다운로드
백서의 첫 페이지 몇 장을 읽으실 수 있도록 발췌했습니다. 나머지 내용을 읽으려면 오른쪽에서 PDF를 다운로드하십시오.
데이터 스토리텔링
비주얼라이제이션을 통해 숫자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 공유
스토리텔링은 인류 경험의 초석입니다. 우주는 원자로 구성되어 있지만 세계는 실제로 스토리를 통해서 발전하고 있습니다. 그리스 신화에서부터 성경, Cosmos와 같은 TV 시리즈에 이르기까지 스토리는 지구상에서 인류의 경험을 재구성해 왔습니다.
스토리텔링의 주요 목적은 세계를 이해하는 데 뿐만 아니라 세계를 변화시키는 데에도 있습니다. 결국 세계를 변화시키기 위해 연구하는 것 아닐까요?
스토리의 여러 요소는 역사상 동일하게 유지되었지만 스토리를 전달할 수 있는 더욱 효율적인 도구와 매체(출판 도서, 영화, 만화 등)는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수천 년 동안 이를 통해 스토리텔링의 방법이 바뀌었고 무엇보다도 스토리가 미치는 영향에 변화가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이미지와 글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통해서도 스토리를 전달할 수 있을까요? 이것이 바로 이 백서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내용입니다.
전달하려는 스토리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작은 드라마
원시 데이터, 중립적인 데이터 또는 재미있는 스토리 중 어느 것을 선택하시겠습니까? 공평하지 않아 보일 수도 있지만 세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인간의 뇌는 스토리를 선호하게 되어 있습니다.
131,824라는 숫자를 생각해 보십시오. 이 숫자는 1973년부터 발생한 규모 4.0 이상 지진의 수입니다. 이 대시보드는 전 세계에서 이러한 지진의 분포를 나타냅니다. Merriam-Webster에는 지진이 '근본적으로 화산 또는 지각층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질의 진동 또는 떨림'이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지진을 떠올릴 때 발아래의 땅이 흔들리는 상상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개념과 연결해 보면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2011년 3월 11일 금요일에 일본 도호쿠 해변에서 규모 9.0의 지진이 발생하여 비극적인 쓰나미가 일어났습니다. 뉴욕 타임스의 보고 내용에 따르면 '도쿄 시간 기준으로 금요일 오후 2시 46분에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굉음과 함께 시작된 진동으로 인해 고층 빌딩이 흔들리고 가구가 쓰러졌으며 고속도로가 휘어졌습니다. 그 후 30피트 높이의 파도가 해변에 몰아쳐 자동차가 떠내려가고 불 탄 건물이 공장, 들판 및 고속도로로 휩쓸려갔습니다.'
오후 2시 46분, 30피트 높이 등의 사실과 데이터가 이 스토리의 근본을 구성하고 있지만 스토리의 흐름이 모든 데이터를 서로 엮어줍니다. 스토리는 또한 데이터를 더욱 기억하기 쉽도록 윤색을 더 합니다. '굉음', '흔들리고' 등의 단어는 사실에 드라마를 더해 더욱 공감하기 쉽게 만들어줍니다.
데이터는 발생하고 있는 현상을 전달하지만 스토리는 이러한 현상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려줍니다.
스토리를 전달하는 이유
이벤트의 시작과 끝을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
스토리의 구성 요소는 무엇일까요? 인류 역사의 시작부터 인간은 스토리를 전달해왔지만 기원전 약 335년이 되어서야 스토리의 구성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이 때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스토리에는 시작, 중간 및 끝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주장은 일반 상식으로 보일 수 있지만 그 당시에는 파격적이었습니다. 이벤트를 시작부터 끝까지 살펴보면 사건이 진행된 방법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스토리의 흐름을 보면 인과 관계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문제의 근본 원인을 찾는 것에는 어려움이 따르지만 인간의 뇌는 사건 간의 연결 고리를 찾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를 구성이 탄탄한 스토리로 만들면 근본 원인을 더욱 쉽게 발견할 수 있고 해당 원인에 대한 의견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텍사스 오스틴의 교사 이직률은 10년 동안 큰 문제가 되었습니다. 오스틴의 교사 이직률은 지난 10년 동안 한 해를 제외하고 전국 평균보다 높았으며 2013년에는 22.3%에 도달했습니다.